역대 ATP 랭킹 1위 테니스 선수 목록
ATP 엔트리 랭킹은 ATP에서 만든 객관화된 랭킹 산정 체계로서 남자 테니스 대회의 참가자격 및 시드 배정을 결정하는 데에 적용된다. 과거 52주간의 누적 ATP 랭킹 포인트가 가장 높은 선수가 세계 랭킹 1위를 차지하게 된다. 포인트는 각 선수들이 출전한 대회에서 거둔 성적과 그 대회의 등급을 기준으로 산정된다.
선수들의 랭킹 포인트를 산정하는 방식은 지난 수 년간 몇 차례에 걸쳐 변화를 겪었다. 현재의 방식은 다음과 같다. 전년도 연말 랭킹 30위권 안에 든 선수는 의무적으로 4개 그랜드 슬램 대회 및 8개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대회에 출전하여야 한다. 추가적으로 ATP 월드 투어 500 시리즈 중 가장 성적이 좋았던 4개 대회의 성적과 기타 대회(ATP 월드 투어 250 시리즈 및 챌린저 대회) 중 역시 가장 성적 좋았던 2개 대회의 포인트를 모두 합산하여 랭킹을 산정하게 된다. 경기 경험이 없는 신규 등록 선수는 0점에서 시작하게 된다.[1]
ATP가 랭킹 산정을 전산화한 1974년 8월 이래로 총 24명의 선수가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.[2][3] 피트 샘프라스는 총 합산 286주간 랭킹 1위를 기록하여 남자 선수 중 가장 오랜 기간동안 랭킹 1위를 기록했으며[4], 로저 페더러 2004년부터 2008년까지 237주 연속으로 랭킹 1위를 기록하여 남녀 선수를 통틀어 최장 연속 랭킹 1위 기록을 갖고 있다. 한편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의 우승 경력이 한 번도 없는 상태에서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한 선수는 2명이 있다. 체코슬로바키아 출신의 이반 렌들은 1983년 2월 생애 처음으로 랭킹 1위에 올랐는데, 그는 1984년 프랑스 오픈[5]에서 우승할 때까지 그랜드 슬램 타이틀이 없었으며, 이전까지의 그랜드 슬램 최고 성적은 1981년 프랑스 오픈 준우승이었다. 마르셀로 리오스는 1998년 3월 처음으로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는데[6], 그는 은퇴할 때까지 선수생활 중 그랜드 슬램 우승 경력이 전혀 없었으며 최고 성적은 1998년 호주 오픈 준우승이었다. 이 대회 결승에서 그는 체코의 페트르 코르다에게 패했다.[7][8]
오스트레일리아의 레이튼 휴이트는 2001년 11월 만 20세 268일의 나이로 세계 랭킹 1위에 올라 현재까지 최연소 랭킹 1위 기록을 갖고 있다. 그는 2001년 US 오픈에서 우승하고 그 직후 같은 해 마스터스 컵 대회에서도 우승하면서 구스타보 쿠에르텐을 제치고 랭킹 1위에 올랐다.[9] 안드레 애거시는 2003년 9월 7일 만 33세 4개월 9일의 나이로 세계 랭킹 1위에 올라 최연장 랭킹 1위 기록을 갖고 있다.[10] 지미 코너스는 선수생활 중 최초로 세계 랭킹 1위에 오른 시기와 마지막으로 오른 시기의 간격이 가장 길다. 그는 1974년 7월 29일 처음으로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가 1983년 7월 3일 마지막으로 랭킹 1위에 올랐으며, 그 두 시기의 간격은 8년 11개월이다.[11]
2008년 8월 18일 라파엘 나달이 로저 페더러를 제치고 세계 랭킹 1위에 오르면서 세계 랭킹 1위에 오른 24번째 남자 선수가 되었다. 또 그는 2008년 연말 랭킹 1위를 기록하여 연말 랭킹 1위에 오른 15번째 남자 선수가 되었다.[12]
목차[숨기기] |
[편집] 역대 랭킹 1위 선수
- 범례
* | 현재 랭킹 1위 |
국가 | 이름 | 시작일 | 종료일 | 기간(주) | 개인별 누적 합계 |
---|---|---|---|---|---|
루마니아 ROM | 일리에 나스타시 (1) | 1973년 8월 23일 | 1974년 6월 2일 | 40 | 40 |
오스트레일리아 AUS | 존 뉴컴 (2) | 1974년 6월 3일 | 1974년 7월 28일 | 8 | 8 |
미국 USA | 지미 코너스 (3) | 1974년 7월 29일 | 1977년 8월 22일 | 160 | 160 |
스웨덴 SWE | 비외른 보리 (4) | 1977년 8월 23일 | 1977년 8월 29일 | 1 | 1 |
미국 | 지미 코너스 | 1977년 8월 30일 | 1979년 4월 8일 | 84 | 244 |
스웨덴 | 비외른 보리 | 1979년 4월 9일 | 1979년 5월 20일 | 6 | 7 |
미국 | 지미 코너스 | 1979년 5월 21일 | 1979년 7월 8일 | 7 | 251 |
스웨덴 | 비외른 보리 | 1979년 7월 9일 | 1980년 3월 2일 | 34 | 41 |
미국 | 존 메켄로 (5) | 1980년 3월 3일 | 1980년 3월 23일 | 3 | 3 |
스웨덴 | 비외른 보리 | 1980년 3월 24일 | 1980년 8월 10일 | 20 | 61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0년 8월 11일 | 1980년 8월 17일 | 1 | 4 |
스웨덴 | 비외른 보리 | 1980년 8월 18일 | 1981년 7월 15일 | 46 | 107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1년 7월 6일 | 1981년 7월 19일 | 2 | 6 |
스웨덴 | 비외른 보리 | 1981년 7월 20일 | 1981년 8월 2일 | 2 | 109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1년 8월 3일 | 1982년 9월 12일 | 58 | 64 |
미국 | 지미 코너스 | 1982년 9월 13일 | 1982년 10월 31일 | 7 | 258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2년 11월 1일 | 1982년 11월 7일 | 1 | 65 |
미국 | 지미 코너스 | 1982년 11월 8일 | 1982년 11월 14일 | 1 | 259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2년 11월 15일 | 1983년 1월 30일 | 11 | 76 |
미국 | 지미 코너스 | 1983년 1월 31일 | 1983년 2월 6일 | 1 | 260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3년 2월 7일 | 1983년 2월 13일 | 1 | 77 |
미국 | 지미 코너스 | 1983년 2월 14일 | 1983년 2월 27일 | 2 | 262 |
체코슬로바키아 TCH | 이반 렌들 (6) | 1983년 2월 28일 | 1983년 5월 15일 | 11 | 11 |
미국 | 지미 코너스 | 1983년 5월 16일 | 1983년 6월 5일 | 3 | 265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3년 6월 6일 | 1983년 6월 12일 | 1 | 78 |
미국 | 지미 코너스 | 1983년 6월 13일 | 1983년 7월 3일 | 3 | 268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3년 7월 4일 | 1983년 10월 30일 | 17 | 95 |
체코슬로바키아 | 이반 렌들 | 1983년 10월 31일 | 1983년 12월 11일 | 6 | 17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3년 12월 12일 | 1984년 1월 8일 | 4 | 99 |
체코슬로바키아 | 이반 렌들 | 1984년 1월 9일 | 1984년 3월 11일 | 9 | 26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4년 3월 12일 | 1984년 6월 10일 | 13 | 112 |
체코슬로바키아 | 이반 렌들 | 1984년 6월 11일 | 1984년 6월 17일 | 1 | 27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4년 6월 18일 | 1984년 7월 8일 | 3 | 115 |
체코슬로바키아 | 이반 렌들 | 1984년 7월 9일 | 1984년 8월 12일 | 5 | 32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4년 8월 13일 | 1985년 8월 18일 | 53 | 168 |
체코슬로바키아 | 이반 렌들 | 1985년 8월 19일 | 1985년 8월 25일 | 1 | 33 |
미국 | 존 메켄로 | 1985년 8월 26일 | 1985년 9월 8일 | 2 | 170 |
체코슬로바키아 | 이반 렌들 | 1985년 9월 9일 | 1988년 9월 11일 | 157 | 190 |
스웨덴 | 매츠 빌랜더 (7) | 1988년 9월 12일 | 1989년 1월 29일 | 20 | 20 |
체코슬로바키아 | 이반 렌들 | 1989년 1월 30일 | 1990년 8월 12일 | 80 | 270 |
스웨덴 | 스테판 에드베리 (8) | 1990년 8월 13일 | 1991년 1월 27일 | 24 | 24 |
독일 GER | 보리스 베커 (9) | 1991년 1월 28일 | 1991년 2월 17일 | 3 | 3 |
스웨덴 | 스테판 에드베리 | 1991년 2월 18일 | 1991년 7월 7일 | 20 | 44 |
독일 | 보리스 베커 | 1991년 7월 8일 | 1991년 9월 8일 | 9 | 12 |
스웨덴 | 스테판 에드베리 | 1991년 9월 9일 | 1992년 2월 9일 | 22 | 66 |
미국 | 짐 쿠리어 (10) | 1992년 2월 10일 | 1992년 3월 22일 | 6 | 6 |
스웨덴 | 스테판 에드베리 | 1992년 3월 23일 | 1992년 4월 12일 | 3 | 69 |
미국 | 짐 쿠리어 | 1992년 4월 13일 | 1992년 9월 13일 | 22 | 28 |
스웨덴 | 스테판 에드베리 | 1992년 9월 14일 | 1992년 10월 4일 | 3 | 72 |
미국 | 짐 쿠리어 | 1992년 10월 5일 | 1993년 4월 11일 | 27 | 55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(11) | 1993년 4월 12일 | 1993년 8월 22일 | 19 | 19 |
미국 | 짐 쿠리어 | 1993년 8월 23일 | 1993년 9월 12일 | 3 | 58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1993년 9월 13일 | 1995년 4월 9일 | 82 | 101 |
미국 | 안드레 애거시 (12) | 1995년 4월 10일 | 1995년 11월 5일 | 30 | 30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1995년 11월 6일 | 1996년 1월 28일 | 12 | 113 |
미국 | 안드레 애거시 | 1996년 1월 29일 | 1996년 2월 11일 | 2 | 32 |
오스트리아 AUT | 토마스 무스터 (13) | 1996년 2월 12일 | 1996년 2월 18일 | 1 | 1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1996년 2월 19일 | 1996년 3월 10일 | 3 | 116 |
오스트리아 | 토마스 무스터 | 1996년 3월 11일 | 1996년 4월 14일 | 5 | 6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1996년 4월 15일 | 1998년 3월 29일 | 102 | 218 |
칠레 CHI | 마르셀로 리오스 (14) | 1998년 3월 30일 | 1998년 4월 26일 | 4 | 4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1998년 4월 27일 | 1998년 8월 9일 | 15 | 233 |
칠레 | 마르셀로 리오스 | 1998년 8월 10일 | 1998년 8월 23일 | 2 | 6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1998년 8월 24일 | 1999년 3월 14일 | 29 | 262 |
스페인 ESP | 카를로스 모야 (15) | 1999년 3월 15일 | 1999년 3월 28일 | 2 | 2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1999년 3월 29일 | 1999년 5월 2일 | 5 | 267 |
러시아 RUS |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(16) | 1999년 5월 3일 | 1999년 6월 13일 | 6 | 6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1999년 6월 14일 | 1999년 7월 4일 | 3 | 270 |
미국 | 안드레 애거시 | 1999년 7월 5일 | 1999년 7월 25일 | 3 | 35 |
오스트레일리아 | 패트릭 라프터 (17) | 1999년 7월 26일 | 1999년 8월 1일 | 1 | 1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1999년 8월 2일 | 1999년 9월 12일 | 6 | 276 |
미국 | 안드레 애거시 | 1999년 9월 13일 | 2000년 9월 10일 | 52 | 87 |
미국 | 피트 샘프라스 | 2000년 9월 11일 | 2000년 11월 19일 | 10 | 286 (최고기록) |
러시아 | 마라트 사핀 (18) | 2000년 11월 20일 | 2000년 12월 3일 | 2 | 2 |
브라질 BRA | 구스타보 쿠에르텐 (19) | 2000년 12월 4일 | 2001년 1월 28일 | 8 | 8 |
러시아 | 마라트 사핀 | 2001년 1월 29일 | 2001년 2월 25일 | 4 | 6 |
브라질 | 구스타보 쿠에르텐 | 2001년 2월 26일 | 2001년 4월 1일 | 5 | 13 |
러시아 | 마라트 사핀 | 2001년 4월 2일 | 2001년 4월 22일 | 3 | 9 |
브라질 | 구스타보 쿠에르텐 | 2001년 4월 23일 | 2001년 11월 18일 | 30 | 43 |
오스트레일리아 | 레이튼 휴이트 (20) | 2001년 11월 19일 | 2003년 4월 27일 | 75 | 75 |
미국 | 안드레 애거시 | 2003년 4월 28일 | 2003년 5월 11일 | 2 | 89 |
오스트레일리아 | 레이튼 휴이트 | 2003년 5월 12일 | 2003년 6월 15일 | 5 | 80 |
미국 | 안드레 애거시 | 2003년 6월 16일 | 2003년 9월 7일 | 12 | 101 |
스페인 |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(21) | 2003년 9월 8일 | 2003년 11월 2일 | 8 | 8 |
미국 | 앤디 로딕 (22) | 2003년 11월 3일 | 2004년 2월 1일 | 13 | 13 |
스위스 SUI | 로저 페더러 (23) | 2004년 2월 2일 | 2008년 8월 17일 | 237 (최고기록) | 237 |
스페인 | 라파엘 나달 (24)* | 2008년 8월 18일 | 2009년 7월 5일 | 46 | 46 |
스위스 | 로저 페더러* | 2009년 7월 6일 | 현재 | 23 | 260 |
※ 누적 기간의 최종 합계는 각 선수들의 마지막 기록에 굵은 글씨로 표시됨.
※ 현재 랭킹 1위 선수는 별표(*)와 함께 해당 행이 파란색으로 표시됨.
(업데이트: 2009년 10월 19일)
[편집] 랭킹 1위 기간
피트 샘프라스는 총 286주간 랭킹 1위를 기록하여 이 부문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(왼쪽 표). 오른쪽 표는 연속 랭킹 1위 기록 순위를 나타내며, 로저 페더러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총 237주간 연속 랭킹 1위를 기록하여 이 부문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
- 범례
(숫자) | 해당 선수가 가진 연속 랭킹 1위 기록의 순위 |
* | 현재 진행 중인 기록 |
+ | 현역 선수 |
|
|
(2009년 12월 10일 기준)
[편집] 연말 랭킹 1위
연말 랭킹 1위는 역년(曆年)[13]간 가장 많은 랭킹 포인트를 누적 획득한 선수에게 돌아간다. 피트 샘프라스는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총 6년 연속으로 연말 랭킹 1위를 기록하여 이 부문 최고기록을 보유하고 있다. 그 다음으로 지미 코너스가 5회를 기록했으며, 존 매켄로, 이반 렌들, 로저 페더러는 4회를 기록했다.
선수 이름 뒤의 괄호 안의 숫자는 해당 선수가 연말 랭킹 1위를 기록한 누적 회수를 나타낸다. 예를 들어, '로저 페더러 (4)'는 로저 페더러가 그 해까지 총 4회 연말 랭킹 1위를 기록했음을 의미한다.
- 범례
(1) | 연말 랭킹 1위를 기록한 개인 회수 |
∞ | 해당 연도 전체 기간동안 랭킹 1위를 유지한 경우 |
연도 | 선수 |
---|---|
1973 | 나스타시, 일리에 일리에 나스타시 (1) |
1974 | 코너스, 지미 지미 코너스 (1) |
1975 | 코너스, 지미 지미 코너스 (2) ∞ |
1976 | 코너스, 지미 지미 코너스 (3) ∞ |
1977 | 코너스, 지미 지미 코너스 (4) |
1978 | 코너스, 지미 지미 코너스 (5) ∞ |
1979 | 보리, 비외른 비외른 보리 (1) |
1980 | 보리, 비외른 비외른 보리 (2) |
1981 | 메켄로, 존 존 메켄로 (1) |
1982 | 메켄로, 존 존 메켄로 (2) |
1983 | 메켄로, 존 존 메켄로 (3) |
1984 | 메켄로, 존 존 메켄로 (4) |
1985 | 렌들, 이반 이반 렌들 (1) |
1986 | 렌들, 이반 이반 렌들 (2) ∞ |
1987 | 렌들, 이반 이반 렌들 (3) ∞ |
1988 | 매츠, 빌랜더 매츠 빌랜더 (1) |
1989 | 렌들, 이반 이반 렌들 (4) |
1990 | 에드베리, 스테판 스테판 에드베리 (1) |
1991 | 에드베리, 스테판 스테판 에드베리 (2) |
1992 | 쿠리어, 짐 짐 쿠리어 (1) |
1993 | 샘프라스, 피트 피트 샘프라스 (1) |
1994 | 샘프라스, 피트 피트 샘프라스 (2) ∞ |
1995 | 샘프라스, 피트 피트 샘프라스 (3) |
1996 | 샘프라스, 피트 피트 샘프라스 (4) |
1997 | 샘프라스, 피트 피트 샘프라스 (5) ∞ |
1998 | 샘프라스, 피트 피트 샘프라스 (6) |
1999 | 애거시, 안드레 안드레 애거시 (1) |
2000 | 쿠에르텐, 구스타보 구스타보 쿠에르텐 (1) |
2001 | 휴이트, 레이튼 레이튼 휴이트 (1) |
2002 | 휴이트, 레이튼 레이튼 휴이트 (2) ∞ |
2003 | 로딕, 앤디 앤디 로딕 (1) |
2004 | 페더러, 로저 로저 페더러 (1) |
2005 | 페더러, 로저 로저 페더러 (2) ∞ |
2006 | 페더러, 로저 로저 페더러 (3) ∞ |
2007 | 페더러, 로저 로저 페더러 (4) ∞ |
2008 | 나달, 라파엘 라파엘 나달 (1) |
2009 | 페더러, 로저 로저 페더러 (5) |
[편집] 역년 랭킹 1위
다음 선수들은 1회 이상 역년 1위[13]를 기록하였다.
- 로저 페더러 - 2005, 2006, 2007 (연속)
- 지미 코너스 - 1975, 1976, 1978
- 이반 렌들 - 1986, 1987
- 피트 샘프라스 - 1994, 1997
- 레이튼 휴이트 - 2002
[편집] 그랜드 슬램 우승 없이 랭킹 1위를 기록한 선수
다음 선수들은 그랜드 슬램에서 우승한 적이 없는 상태에서 세계 랭킹 1위를 달성했다.
선수 | 최초 랭킹 1위 | 최초 그랜드 슬램 우승 |
---|---|---|
이반 렌들 | 1983년 2월 28일 | 1984년 프랑스 오픈 |
마르셀로 리오스 | 1998년 3월 30일 | 없음 |
[편집] 같이 보기
[편집] 주석
- ↑ ATP World Tour - Rankings FAQ (영어). atpworldtour.com. ATP. 2009년 6월 11일에 확인.
- ↑ ATP World Tour - Singles Rankings (영어). ATP. 2009년 10월 19일에 확인.
- ↑ “ITF Tennis - How the Rankings Work (영어)”, 《ITF》, 2003년 8월 27일 작성. 2009년 6월 11일 확인.
- ↑ 남녀 선수를 통틀어 랭킹 1위 최장 기록은 슈테피 그라프의 총 377주이다.
- ↑ “Worthy of really high fives (영어)”, 《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》, 《CNN》, 1984년 6월 18일 작성. 2009년 6월 11일 확인.
- ↑ Sony Ericsson Open - Tournament history (영어). tennistours.com. 2009년 6월 11일에 확인.
- ↑ Wilstein, Steve, “Korda takes Australian Open title (영어)”, 《워싱턴 포스트》, 1998년 2월 1일 작성. 2009년 6월 11일 확인.
- ↑ Player biography - Marcelo Rios (영어). ITF. 2009년 6월 11일에 확인.
- ↑ Lleyton Hewitt (영어). BBC Sport. BBC (2001년 11월 27일). 2009년 6월 11일에 확인.
- ↑ Andre Agassi (영어). BBC Sport. BBC (19 August 2003). 2009년 6월 11일에 확인.
- ↑ The very competitive Jimmy Connors (영어). all-about-tennis.com. 2009년 6월 11일에 확인.
- ↑ “Nadal Clinches Year End Number 1 For First Time] (영어)”, 《atpworldtour.com》, 《프로 테니스 협회(ATP)》, 2008년 8월 18일 작성. 2009년 6월 11일 확인.
- ↑ 가 나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를 의미함. 즉 역년 랭킹 1위라 하면 1년 내내 랭킹 1위를 유지한 경우를 말한다.
[편집] 바깥 링크
'테니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테니스 라켓 고르는 법 (0) | 2012.01.10 |
---|---|
역대 WTA 랭킹 1위 테니스 선수 목록 (0) | 2012.01.06 |
올림픽공원 테니스장 (0) | 2012.01.02 |
테니스 기본 자세 (0) | 2009.12.05 |
호계테니스장 안양테니스 모임 염형준 (0) | 2009.12.04 |